월남쌈(고이 꾸온)은 집에서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베트남 요리 중 하나입니다. 해산물과 신선한 채소를 투명한 쌀종이로 감싸 만든 건강한 전채요리입니다.
월남쌈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음식은 베트남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래 이름은 고이 꾸온(Gỏi cuốn)이며, 여름 롤(Summer Roll)이라고도 불립니다. ‘고이 꾸온’은 문자 그대로 ‘샐러드 롤’이라는 뜻으로, 신선한 채소가 듬뿍 들어간 속재료를 잘 보여줍니다. 이 음식은 남부의 더운 기후에서 가볍고 신선한 요리를 선호하다가 탄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전통적인 주요 재료는 상추, 타이 바질, 깻잎, 말린 새우, 삶은 돼지고기, 신선한 새우 등입니다. 이 모든 재료를 쌀종이에 돌돌 말아 만듭니다.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쌀종이는 마트에서 ‘반짱(bánh tráng)’이라는 이름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월남쌈의 기원
월남쌈은 베트남 요리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그 역사가 더 복잡하고 기원에 대한 논란도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월남쌈이 중국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지만, 정확한 기원은 알기 어렵습니다. 분명한 것은, 월남쌈이 각 지역의 입맛과 재료에 맞게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해왔다는 점입니다.
역사학자들은 중국의 포피아(베트남어로 보비아, bò bía)가 고이 꾸온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논의합니다. 실제로 중국 포피아와 베트남 고이 꾸온은 모두 얇은 피에 채소와 단백질을 말아 호이신 소스와 함께 먹는 등 여러 면에서 비슷합니다.

원래 사이공의 노점상들은 보비아에 여주, 계란, 말린 새우, 중국식 소시지, 땅콩 소스를 넣어 팔았습니다. 이런 방식이 베트남 현지 재료로 변형되어 고이 꾸온이 탄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이 꾸온은 밀전병 대신 쌀종이를 사용하고, 볶거나 기름을 쓰지 않으며, 신선한 허브를 듬뿍 넣어 훨씬 가볍고 산뜻하게 발전했습니다.
베트남 기사에서도 언급했듯, 고이 꾸온은 기름 없이 신선한 채소를 듬뿍 넣어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점이 사랑받는 이유입니다. 즉, 롤이라는 아이디어는 중국 이민자에게서 왔을 수 있지만, 베트남식 고이 꾸온은 고유의 정체성을 갖게 되었고, 이제는 ‘국혼국수(국가의 혼과 정수)’라 불릴 만큼 베트남을 대표하는 음식이 되었습니다.
전통 월남쌈의 구성
이 글 하단의 레시피는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우리가 식당에서 흔히 먹는 스타일에 가깝게 응용한 버전입니다. 이 섹션에서는 월남쌈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해 전통적인 재료와 특징을 소개합니다.
역사적 기록과 연구에 따르면, 전통 월남쌈에서 변하지 않는 핵심 재료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속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돼지고기 – 일반적으로 껍질이 붙은 삼겹살을 삶아 얇게 썰어 사용합니다. 지방과 살코기의 균형을 위해 thịt heo ba chỉ hai đầu da(양면 껍질 삼겹살)를 쓰기도 합니다.
- 새우 – 보통 삶은 새우(또는 대하)를 껍질을 벗기고 세로로 반을 갈라 넣습니다. 얇은 쌀종이 너머로 보이는 선명한 주황색이 식욕을 돋웁니다. 돼지고기와 새우 조합이 워낙 대표적이라, 이 클래식 버전은 고이 꾸온 똠 티트(gỏi cuốn tôm thịt)라고도 불립니다.
- 쌀국수(분, bún) –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더해주며, 소스를 잘 흡수합니다. 각 롤에 소량씩 넣어줍니다.
- 신선한 허브와 채소 – 다양한 생잎과 허브가 고이 꾸온 특유의 향을 완성합니다. 상추(부드럽고 연한 잎), 타이 바질(húng quế), 물미나리(ngò om), 민트(húng bạc hà), 때로는 고수(ngò rí) 등이 자주 쓰입니다. 남부에서는 부추(hẹ)를 넣어 롤 끝에 삐져나오게 연출하기도 하죠. 지역에 따라 깻잎(tía tô)이나 어성초(diếp cá)도 넣어 더 진한 허브향을 냅니다(북부·중부에서 흔함). 허브와 잎이 풍부해야 ‘샐러드 롤’다운 신선함과 정통성을 갖출 수 있습니다.
- 채소 – 전통적으로 오이(얇게 썬 것)를 넣어 아삭함과 상큼함을 더합니다. 일부 가정에서는 데친 숙주를 넣기도 하고, 지역에 따라 당근·무 절임, 메콩강 삼각주에서는 풋망고를 넣어 새콤함을 더하기도 합니다.
곁들임 소스
베트남 남부에서는 전통적으로 뚱 싸이(tương xay)라는 진하고 짭조름한 발효콩 소스를 사용하며, 여기에 으깬 땅콩을 더합니다. 예전에는 찹쌀과 콩을 푹 끓여 으깨고 발효시켜 걸쭉한 소스를 만들었습니다. 대표적인 소스 레시피는 다진 마늘과 샬롯을 볶은 뒤, 베트남식 발효콩 소스(tương, 호이신과 유사)에 육수나 코코넛워터, 설탕을 넣고, 볶은 땅콩과 고추를 더해 만듭니다.
이렇게 만든 소스는 뚱 더우퐁(tương đậu phộng)(땅콩 발효콩 소스)이라고도 하며, 짭조름하면서도 약간 달고, 느억찜(nước chấm)보다 훨씬 걸쭉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판 호이신 소스와 땅콩버터로 간단히 만든 호이신-땅콩 소스도 널리 쓰이게 되었는데, 이는 전통 뚱 소스 맛과 비슷해 해외에서도 인기가 많습니다.
땅콩 소스 외에도, 느억맘 추어 응엇(nước mắm chua ngọt)이라는 달콤·매콤한 피시소스(느억찜)도 정통 소스입니다. 피시소스, 라임즙, 물, 설탕, 마늘, 고추로 만들며, 중부·북부에서 월남쌈과 곁들이거나 남부에서도 대체 소스로 자주 씁니다. 두 소스 모두 정통으로 인정받으며, 지역이나 속재료에 따라 선택합니다. 허브향이 강하거나 해산물이 들어가면 느억찜을, 돼지고기·새우 클래식에는 땅콩 소스를 더 자주 곁들입니다. 두 소스를 모두 내는 경우도 흔합니다.
지역별 명칭과 다양한 변형
남부(이 음식의 발상지로 추정)에서는 ‘고이 꾸온’이라 부르며, 북부에서는 ‘넴 꾸온’(nem cuốn, 말린 넴)이라 합니다. 북부에서 ‘넴’은 여러 가지 말아 만든 요리를 통칭하기 때문입니다. 중부에서는 ‘반짱 꾸온’(bánh tráng cuốn, 쌀종이 롤)이라고도 합니다. 명칭은 다르지만, 기본 개념은 같습니다. 다만, 지역별로 곁들이는 소스와 허브가 다릅니다. 북부에서는 ‘넴 꾸온’에 피시소스(nước mắm pha)와 현지 허브(kinh giới, 깻잎 등)를 곁들이고, 남부에서는 콩 소스(tương)와 달콤한 맛을 선호합니다.
베트남에는 이 밖에도 다양한 속재료를 활용한 ‘몬 꾸온(món cuốn, 롤 요리)’이 많습니다. 새우·돼지고기 클래식(tôm thịt)이 가장 유명하지만, 오래전부터 전해져온 여러 변형이 있습니다.
- 고이 꾸온 차이(Gỏi cuốn chay): 채식 월남쌈으로, 튀긴 두부나 템페 등 식물성 단백질과 당근, 여주, 부추 등 다양한 채소를 넣어 만듭니다. 불교 요리 전통에서 오랜 역사를 지녔으며, 두부, 오믈렛, 볶은 버섯 등으로 고기 대신 속을 채우기도 합니다.
- 비 꾸온(Bì cuốn): 구운 쌀가루와 섞은 돼지껍질채(비, bì), 상추, 허브를 넣어 만든 남부의 별미입니다. 고이 꾸온과는 속재료만 다를 뿐, 독립적인 전통 음식으로 여겨집니다.
- 넴느엉 꾸온(Nem nướng cuốn): 양념한 돼지고기 완자(nem nướng), 상추, 오이, 피클, 허브를 쌀종이에 말아 만듭니다. 달콤한 고추·땅콩 소스와 곁들여 먹으며, 중부와 남중부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 퍼 꾸온(Phở cuốn): 하노이 특산으로, 마른 쌀국수면 대신 넓은 쌀국수면(퍼)을 사용해 소고기, 허브, 상추를 말아 피시소스에 찍어 먹습니다.

- 보비아(Bò bía): 앞서 언급한 것처럼, 베트남에서는 고이 꾸온의 ‘사촌’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중국 포피아를 직접 변형한 것으로, 밀전병에 볶은 여주, 당근, 중국 소시지, 계란, 말린 새우를 넣고, 호이신-땅콩 소스에 찍어 먹습니다. 다른 노점상들이 팔지만, 고이 꾸온과 한 가족으로 인식됩니다.

월남쌈의 맛과 식감은?
월남쌈은 독특한 식감과 맛으로 특별한 미식 경험을 선사합니다. 쌀종이에 속재료를 단단히 말면, 한입 베어물 때 쫀득한 저항감이 느껴져 씹는 재미가 있습니다.
쌀종이가 터지면, 속에 든 다양한 재료의 식감과 맛이 한 번에 입안에서 퍼집니다. 쫄깃한 쌀국수는 부드럽고 가벼워 아삭한 채소나 단백질과 대조를 이룹니다.
당근, 오이, 상추, 민트 등 채소는 신선함과 허브향을 더해주며, 새우·돼지고기·닭고기·두부 등 단백질은 더 쫀득하고 감칠맛을 더해줍니다.
마지막으로, 곁들임 소스가 전체 맛을 한층 끌어올려줍니다. 달콤하거나 매콤, 짭조름한 소스가 모든 재료를 조화롭게 연결해줘 균형 잡힌 맛을 완성합니다.
월남쌈 속재료 준비하기

전통 베트남 월남쌈에는 아삭한 상추, 채 썬 당근, 얇게 썬 적양배추, 숙주, 새우를 조합해 사용합니다. 쌀국수를 넣으면 더 든든하면서도 여전히 가볍게 즐길 수 있습니다. (가끔 가볍게 먹는 레시피도 괜찮죠!)
민트와 고수 등 신선한 허브도 2~3가지 넣으면 한입마다 향긋함이 살아납니다. 쌀종이에 속을 너무 많이 넣거나 너무 세게 말면 터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소스는 호이신 소스를 사용합니다. 없으면 굴소스를 절반만 넣고 설탕 1큰술을 더해 대체할 수 있습니다. 직접 만들고 싶다면 위 링크의 레시피를 참고하세요.
월남쌈용 새우 준비법
익힌 새우를 사거나, 끓는 물에 1~2분 정도 데쳐서 분홍색이 돌고 속까지 익으면 됩니다. 세로로 반을 갈라 롤에 평평하게 넣어주세요.

월남쌈용 쌀종이
월남쌈용 쌀종이는 대부분의 대형마트나 아시아 식품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얇고 투명한 원형 건조 쌀종이로, 지름 약 22cm 정도이며 원하는 속재료를 다양하게 넣을 수 있습니다.
쌀종이를 적시는 시간 조절이 핵심입니다. 너무 오래 담그면 말기 어렵고, 너무 짧으면 잘 안 말립니다. 속재료를 미리 다 준비해두고, 쌀종이는 바로 사용하세요.
다양한 속재료 추천
단백질: 구운 닭고기, 차슈, 홍소육, 두부, 베트남식 파테
채소: 피망, 오이, 채소채, 도쭈아(베트남식 절임채소)
과일: 망고, 파인애플, 딸기 등
월남쌈 보관법
월남쌈은 말아서 1~2시간 이내에 바로 먹는 것이 가장 맛있습니다. 그래도 남았다면 랩으로 싸서 냉장 보관하고 24시간 이내에 드세요.
냉장고에 두면 쌀종이가 수분을 잃어 조금 더 딱딱해질 수 있다는 점도 참고하세요.

재료
새우 생춘권
- 170 g 쌀 버미셀리 면
- 265 g 새우 16~20마리
- 10 장 원형 라이스페이퍼
- 10 잎 상추 줄기 제거 후 반으로 자르기
- 60 g 당근 채 썬 것
- 75 g 적양배추 곱게 채 썬 것
- 45 g 숙주나물
- 20 잎 민트 잎
- 2 g 고수 잎
조리 방법
사테 디핑 소스
- 볼에 모든 재료를 넣고 고루 휘저어 섞으세요. 더 묽게 원하면 물을 조금 더 넣으세요.120 ml 호이신 소스, 60 ml 땅콩버터, 60 ml 물, 15 ml 쌀식초, 10 g 부순 땅콩
- 서빙 볼에 담고 부순 땅콩을 조금 더 뿌리세요.
새우 생춘권
- 중간 크기 냄비에 물 3리터를 끓이세요. 말린 쌀 버미셀리 면을 넣고 면이 부드럽되 퍼지지 않게 약 4~6분, 또는 포장지 표기대로 삶으세요.170 g 쌀 버미셀리 면
- 채에 밭쳐 찬물에 헹군 뒤, 사용할 때까지 냉장 보관하세요. 끓인 물은 버리지 마세요.
- 물을 다시 끓인 뒤 새우를 넣고 1~1.5분간 삶아, 분홍색이 나고 속이 불투명해질 때까지 익히세요.265 g 새우
- 즉시 건져 물기를 빼고 냉장고에서 식히세요.
- 식으면 껍질이 남아 있다면 제거하고, 새우를 길게 반으로 갈라 두 조각으로 나누세요. 따로 두세요.
- 라이스페이퍼 한 장이 들어갈 만큼 큰 파이 접시나 대형 볼에 찬물을 채우세요.
- 도마 위에 젖은 행주를 깔고, 라이스페이퍼 1장을 물에 15~20초 담그세요.10 장 원형 라이스페이퍼
- 건져 물기를 털어내고 젖은 천 위에 평평하게 올리세요. 처음엔 다소 뻣뻣해 보여도 말다 보면 금세 유연해집니다.
- 라이스페이퍼 아랫부분 1/3 지점에 상추 한 장을 올리세요. 그 위에 버미셀리 2~3큰술, 당근 1큰술, 양배추 1큰술, 숙주 약간을 올립니다.10 잎 상추, 60 g 당근, 75 g 적양배추, 45 g 숙주나물
- 라이스페이퍼를 반쯤 말아 원통 모양을 만든 뒤, 양쪽을 봉투 접기처럼 접으세요.
- 가른 새우 2조각을 단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접힌 선을 따라 올리세요. 옆에 고수 잎과 민트 잎을 몇 장 올린 뒤, 끝까지 단단하게 말아 고정하세요.20 잎 민트 잎, 2 g 고수 잎
- 남은 재료로 반복하세요. “이음매”가 아래로 가도록 두고 보관하세요. 땅콩 소스와 함께 바로 내세요.
Notes
Nutrition
참고 자료
- Món cuốn Việt: Cuộc ‘viễn du’ của món ăn bình dân — phunuonline.com.vn (https://www.phunuonline.com.vn/mon-cuon-viet-cuoc-vien-du-cua-mon-an-binh-dan-a1433418.html)
- History of Spring Rolls — juleeho.com (https://juleeho.com/food-history-101-blog/history-of-spring-rolls)
- Gỏi cuốn Sài Gòn — dantri.com.vn (https://dantri.com.vn/van-hoa/goi-cuon-sai-gon-1414668002.htm)
- Gỏi cuốn — vi.wikipedia.org (https://vi.wikipedia.org/wiki/G%E1%BB%8Fi_cu%E1%BB%91n)
- Gỏi cuốn: A Fresh and Tasty Story — mrlinhadventure.com (https://www.mrlinhadventure.com/en/vietnam/travel-blog/mrlinh-adventures/1317-goi-cuon–a-fresh-and-tasty-story.aspx)
- Gỏi cuốn Sài Gòn— dantri.com.vn (https://dantri.com.vn/van-hoa/goi-cuon-sai-gon-1414668002.htm)